[투어코리아=이창호 기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08-07 13:45
조회2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네이버상위노출
[투어코리아=이창호 기자]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 추진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향후 송도 워터프런트 2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기후변화에 따른 수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내륙 지역과 달리 바다에 접한 지역은 집중호우 시 만조와 겹쳐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대규모 침수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이에 서해안의 강화도, 영종도 등은 배수갑문을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방재하고 있으며, 송도국제도시도 유수지, 수문, 수로 등을 갖춘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을 통해 적극적인 침수방지 대책을 추진해왔다.워터프런트 2단계 완료 시, 침수로부터 안전한 도시 실현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도시에 'ㅁ'자형 물길을 내는 워터프런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 중 하나는 재난을 예방하는 '방재'다. 송도국제도시 한복판의 동서남북 방향에 물길을 뚫어 유수지의 빗물 저장능력을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게 뼈대다.워터프런트는 100년 빈도의 강우(시간당 약 100.4㎜)와 조위 상승에 대비한 도시 방재시설이다. 워터프런트 1-1단계는 1·3공구와 6·8공구 유수지 및 남측바다를 연결하는 수로와 수문 설치로 2022년 완료되었다.현재 6공구 유수지~아암유수지~북측수로연결 및 북1수문 설치를 위한 1-2단계 공사와 11공구 내 수로 조성의 1-3단계 공사가 진행 중이며, 남측수로 조성과 남1·2수문 설치를 위한 2단계 사업의 기본설계가 진행 중이다.인천경제청은 워터프런트 2단계 사업 완료 시 기후변화 시대의 모범 방재 사례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현재 송도국제도시(27.66㎢)의 저류용량은 550만㎥ 수준이다. 그러나 향후 송도국제도시가 개발 완료되면 유역면적(41.95㎢) 증가로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유량이 바다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되고 대규모의 침수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인천경제청은 워터프런트 2단계 사업 추진을 통해, 935만㎥의 저류용량을 확보해 강수를 저류하고 바닷물의 유입을 조절해 침수피해를 방지할 계획이다. 반면 2단계 사업이 시행되지 않는다면 대상유역에 내린 강우로 인한 유출량 초과로 침수가 발생할 글로벌 AI 시장이 커지면서 핵심 자원인 구리가 주목 받고 있다. 구리는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에 대규모 투입된다. 일례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카고에 5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건설하는 데 2177톤의 구리를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구리는 전력 인프라, 통신 케이블, 냉각 설비 등 데이터센터의 핵심 부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 송배전선에도 구리는 필수 소재다. 데이터센터가 쓰는 전기와 관련된 모든 곳에 구리가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세계 최대 광산 기업인 BHP는 데이터센터의 구리 수요가 2050년까지 6배 증가한 300만 톤에 이른다고 전망했다. 이는 2050년 글로벌 구리 수요의 약 9%에 해당하는 수치다.많은 광물 중에서도 ‘구리’가 각광 받는 이유가 있다. 전기를 통하게 하는 소재에는 금, 은, 알루미늄 등이 있지만, 전도성은 구리가 최고의 효율성을 보인다. 알루미늄의 경우, 구리에 비해 가볍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도성은 구리의 60%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구리는 90%이상 재활용이 가능해 장기적 관점에서 알루미늄보다 비용면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뿐만 아니라 구리는 높은 압력과 온도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부식에도 강해 높은 내구성을 자랑한다. 전기와 관련된 모든 곳에 구리가 있는 이유다.‘AI는 전기를 먹고 자라는 기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AI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데에는 많은 전력량이 필요하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AI 모델이 5초짜리 영상을 생성하는 데 전자레인지를 1시간 이상 가동하는 것과 맞먹는 전기가 필요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세계에너지기구(IEA)도 2024년 전세계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약 1.5%를 차지하며, 2030년에는 약 3%까지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높은 전도성, 내구성, 재활용 등의 장점을 가진 구리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 소재로 꼽힌다. 특히, 전기차 한 대에는 평균 약 83kg의 구리가 사용되는데, 이는 내연기관차에 사용되는 구리 양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세계에너지기구는 2024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1,700만 대를 돌파하며 신규 승용차 시장에서 점유율 20%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전기차 대중화가 시작되면서 구리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글로벌 시장도 구리에 집중하고 있다. 호주 등 일부 국가는 이미 구리를 전략 물자
네이버상위노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