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올 여름 온열질환 환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07-28 03:40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상조내구제
Q. 올 여름 온열질환 환자 증가? 온열질환자 지난 2일 하루 100명 기록·급증현상 빨라져경기도 일부·강원 동해안 등서 체감온도 35℃ 안팎까지 올라 전체 온열질환자 중 77.4% 남성·고령자가 30.6% 차지Q. 온열질환 종류와 증상은? 열사병 직전 두통·어지러움·구역질·경련·시력장애 발생 열사병 걸릴 경우 피부는 뜨겁고 건조해 땀이 나지 않아 '열탈진' 과도한 땀으로 수분이 부족해지며 탈수 발생Q. 온열질환 예방요령은?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냉방이 가능한 실내에서 쉬어야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야 양산이나 챙이 넓은 모자 등을 사용해 햇볕을 차단해야Q. 온열질환 고위험군은? 고령자와 만성질환자 등은 열사병 발병 위험 높아져 혈압 환자는 탈수로 혈액 농도가 짙어지면 혈압이 상승 당뇨 환자는 땀 과다 배출로 혈당량이 높아지면 위험Q. 여름철 야외활동 시 주의사항은? 지난해 온열질환자 20대~40대 젊은 환자가 36% 이상 가슴 통증·메스꺼움·어지럼증 동반되면 심장 질환 의심 기저질환이 있다면 운동 전 적절한 운동 강도 설정해야Q. 온열질환 대처요령은? 그늘이나 에어컨이 있는 실내로 환자를 옮겨야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 물을 마시게 하면 안 돼 가능한 한 빠르게 환자 체온을 39℃ 이하로 떨어뜨려야Q. 폭염 시 작업 안전수칙은? 체감온도 33도 이상일 땐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개인용 냉방 장치 혹은 개인용 보냉 장구를 지급해야 노동자가 온열질환 증상을 보이면 바로 119에 신고해야Q.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증가? 최근 5년간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화재 678건 발생 전동킥보드 화재가 485건으로 전체의 70%를 차지 전기자전거·전기오토바이·전자담배 순으로 화재 발생Q.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원인은? 과충전·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고온에서 방치하면 위험 무분별한 충전과 관리 부주의가 화재 키우기도 배터리 화재 중 과반인 312건(51%)이 과충전 상태에서 발생Q. 배터리 화재 예방은? 배터리·충전기는 국가통합인증 받은 정품을 사용해야 배터리 외형 부풀거나 타는 냄새 난다면 즉시 사용 중단해야 충전이 완료되면 즉시 플러그를 뽑아 전원을 차단해야Q. 배터리 폐기 시 주의사항은? 사용 끝난 배터리 방치하거나 잘못 폐기하면 사고 발생할 수도 단자 부분 절연테이프로 감싼 후 지자체 수거함에 처리 수거·운반 과정▶▶▶▶▶▶▶▶▶▶ 앵커멘트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많은 관광객들이여름 휴가 보내기 위해 제주를 찾고 있습니다.공항만은 종일 북적였고해수욕장 등 피서지마다관광객들의 발길이 잇따랐습니다.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본문 ◀◀◀◀◀◀◀◀◀◀ 제주국제공항 대합실이 북적입니다. 게이트가 열리자여행 가방을 끌고 온 사람들이쏟아지듯 나옵니다.황금 휴가철로 불리는 '7말 8초' 답게제주에서 여름을 즐기러 온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습니다.가족 단위부터연인 또는 친구와 함께제주를 찾은 여행객들은설렘을 가득 안고 휴가를 시작합니다.<한지희, 한다은 / 광주광역시>"휴가 기간이라서 어디갈까 고민하다가 제주도에 2박3일 일정으로 놀러왔어요. (오늘은 물놀이 하려고요. 스노클링 기대돼요."< 허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오랜만에 가족들과 시간내서 제주도 오게 돼서 기분이 좋고요. 여행 기간동안 날씨도 좋고 가족끼리 날씨처럼 화목하게 웃는 3박4일 됐으면 좋겠습니다."해수욕장은 여름철 피서지로 단연 인기입니다.물 속에 들어가 더위를 잊고출렁이는 파도 위를 가르며서핑을 즐기기도 합니다.최근 SNS 등 여러 매체를 통해해외에도 제주가 여름 관광지로 유명해지면서외국인들도 눈에 띄게 많았습니다.<인터뷰 : 왕림리 중국 저장성>“제주가 정말 매력적이고 풍경 뿐 아니라 맛있는 음식도 많다고 해서 여행왔어요. 놀고 쉬려고 합니다."이번 주말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3만 9천여 명.이달 누적 관광객 수는100만 명을 돌파하며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이상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여름 황금 휴가철 시기에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지급 효과까지 더해지며관광 활성화에 대한 기대도 오르고 있습니다.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영상취재 : 김승철)
상조내구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